세상이 온통 자동화, 디지털화하다 보니 노인들은 갈수록 살기가 불편해집니다. 음식점에서 뭘 사 먹으려도 이상하게 생긴 그놈의 기계에 돈을 넣고 주문을 해야 하니 난감합니다. 손가락으로 화면을 누르는 데 서툴러 실수를 하거나 다시 시작하다 보면 시간도 많이 걸립니다. 종업원이나 줄 서서 기다리는 뒷 손님이 도와줘야 하니 늘 눈치가 보입니다.
밤중에 아무리 기다려도 택시를 탈 수 없습니다. 차는 오지만 손을 들어도 서지 않습니다. 다 예약이 돼 있는 차들입니다. 추운 겨울에 오래 기다리며 애태우는데 방금 어느 골목에서 왁자지껄 떠들며 나온 젊은이들은 잘도 택시를 타고 사라집니다. 커피 한잔 사 마시려 해도 뭐가 뭔지 알 수 없어 포기하는 경우가 생깁니다.
이런 할아버지 할머니들을 돕는 젊은이들은 참 보기에 좋고 대견합니다. 옛날엔 부모를 위해 저녁에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아침에 문안하는 혼정신성(昏定晨省)이 효도였지만, 지금은 내 부모든 남의 할아버지 할머니든 ‘디지털 효도’가 중요한 세상입니다. 불지옥이 어디냐고 묻는 할머니를 푸르지오 아파트로 모셔다 드린 젊은이 이야기를 읽고 참 기특하고 상상력도 좋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.(그 할머니는 왜 불지옥이라고 했을까? 며느리가 싫어서? 아니면 아파트에 사는 게 지옥 같아서?)
다음은 커피숍에서 아르바이트하는 젊은이들과 손님이 쓴 글을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. 내가 현장에 있는 것처럼 노인들의 모습과 커피숍의 풍경이 한눈에 잘 보입니다.
#82세쯤 돼 보이는 할아버지가 “커피 한 잔 줘,” 그래서 “무슨 커피 드릴까요?” 했더니 곰곰 생각하더니 “그냥 밀크커피.” 그래서 나뭇잎 같은 걸 그려서 카페 라떼를 드림. 그러자 커피 마실 생각은 하지 않고 사진 찍으심.
##예전에 커피숍 할 때 할아버지 한 분이 오셔서 달달한 커피 달라 그래서 카라멜 마끼아또 드림. 며칠 뒤 할아버지가 할머니를 모시고 오심. 여기가 그 커피 맛있는 집이라고 함. 집이 방배동인데 커피 드시러 서너 정거장 떨어진 곳까지 오심. 그때 그거 달라고. 그래서 종이에 써 드림. 집 근처 아무 커피숍이나 가셔서 이 쪽지 주시면 이 커피 나오니까 근처에서 사 드시라고. ㅋㅋ. 할아버지 생각 많이 나더라. 이런 건 노인들 안 좋아해서 안 드시는 줄 알았는데 몰라서 못 드시고 있을 수도 있음. 나중에 캔 커피나 믹스 좋아하시는 어르신들 주변에 계시면 한번 사 드려봐. 엄청 좋아하실 수 있음.
###스타벅스에서 기다리는데 직원이 어느 할머니의 주문을 받으면서 다방 커피같이 달달하며 프림 넣은 게 좋으신지, 탄 밥 누룽지처럼 구수한 게 좋으신지 묻는 거 보고 배려와 맞춤형 서비스에 감탄한 기억이 난다.
사실 아직 덜 늙은 나도 실수할 때가 많습니다. 커피를 자주 마시지도 않지만 카페 라떼를 생각하면서 엉뚱하게 에스프레소를 주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솔직히 말해 마끼아또가 뭔지도 잘 모릅니다. 노인들이 알기 좋게 커피 이름을 ‘달달한 놈, 고소한 놈, 독한 놈’ 이렇게 써 붙인 커피숍도 있습니다. 여러 가지 커피의 맛을 한마디로 알려주니 주문하기 편리합니다.
|
댓글0개